주식 손절의 기준은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


오늘은 주식 손절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이전에 세웠던 매수근거가 훼손되는 경우, 시정 펀더맨탈의 극적인 변화 등은 제외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번글은 회사의 펀더멘탈이 변화가 없지만, 잘못 생각했거나 시장은 다르게 흘러가서 주식을 손절하는 경우입니다. 

괴로워하는-기준-썸네일

저는 크게 2가지 손절기준을 잡습니다. 가격 퍼센트 기준과 기술적(차트적) 기준입니다. 

① 퍼센트 기준 손절

간단하죠?? 매수 가격 대비 -5% ~ -10% 하락 시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저는 -10%로 잡는데, 상대적으로 늦어보이긴 하네요 ㅎㅎ


② 기술적(차트적) 분석 기준 손절

-지지선 이탈 시 손절

이 가격대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걸 지지선(Support Line)이라고 하는데요! 주가가 상향 추세 시엔 이전 돌파된 저항선(Resistance Line) 근처가 새로운 지지선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이 지지선을 깰 경우에는 확실하게 하향추세라는 걸 보여주기 때문에 일단 손절을 해야하는 것입니다! 

지지선과-저항선을-설명해주는-그림



구구절절 길게 얘기했지만, 이것보다 훨씬 중요한 건 내가 세운 나만의 손절기준은 "반드시 지킨다"는 마인드가 제일 중요합니다. 아깝지만 무조건 손절해야 됩니다. -7%가 -5~60%보단 훨씬 낫잖아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