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 PBR, PER, ROE 완벽하게 이해하기

📌 PBR, PER, ROE 3줄 요약

1. PBR은 주가를 장부가치로 나눈 비율,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이에요.

2. PBR과 PE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해요.

3.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높을수록 효율적이고 주가도 높은 경향이 있어요.


관심있는 종목의 PBR/PER/ROE가 궁금하다면 네이버페이 증권 사이트를 이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 EPS(원) 뭐예요?

EPS*란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1주당얼마로 나눠가질 수 있느냐를 뜻해요. 여기서 순이익은 영업이익이 아니라 재무제표상 당기 순이익(Net Income)을 의미합니다. 당기 순이익이란 기업이 한 해 동안 모든 비용과 세금을 다 제하고 실제로 벌어들인 최종 이익을 뜻해요. 

*EPS(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 순이익 ÷ 발행주식수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는 종목은요??

EPS는 회사가 전체적으로 벌어들인 순이익 / 전체 발행주식수라고 했잖아요. 우선주라고 하도 어쨌든 동일한 회사에 대한 발행주식이니 모두 합쳐서 계산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삼성전자 보통주든 우선주든 EPS가 동일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EPS가 얼마??

그때 그때 다르겠지만 태광산업이 24년 19만원으로 굉장히 높고 , 삼성전자가 5000원~8000원 , NAVER가 6000원~12000원 정도 하네요.  현대차는 4만원입니다. ㄷㄷ


😮 ROE(%) 뭐예요?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해요. ROE는 경영자가 주주의 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의 효율성을 보여줘요. 따라서 ROE는 높을수록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요. ROE가 10% 이상이면 굉장히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은행보다 훨씬 돈을 많이 버는 거니까요!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자기자본은 '자본통계'라고도 하며, 회사가 가진 순수한 자기 돈을 의미해요.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ROE(%)가 얼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0~12% 정도 합니다. 삼성전자의 ROE가 최근 4% ~9% 정도 하네요. 네이버가 7%, 아모레퍼시픽이 2%~5%구요. 식품주들 ROE가 6% 정도구요. 금융주들의 ROE가 8~9%정도 합니다. 


그동안은 기업 실적에 관한 지표를 배웠고, 이제부터는 가격이란 Price 개념이 나옵니다. 기업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가격이 너무 높으면 매수하기가 어렵겠죠?? 그래서 가격과 연동된 지표를 정리해 놓은 겁니다.


🤨 PER(배) 뭐예요?

PER*이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해요.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를 보여주죠. 따라서 PER이 낮을수록 주당순이익이 크므로, 주가가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해요.

*PER(Price Earnings Ratio) : 주가이익비율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시가총액 ÷순이익

*주당순이익 = 순이익 ÷ 주식수

PER은 수익성의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몇년이나 순이익을 내야 시가총액에 도달하는지 평가하는 겁니다. PER이 높게 평가받는 기업은 앞으로 순이익이 높아질 거라는 기대가 있어서 가격이 높은 겁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PER(배)가 얼마??

삼성바이오로직스 60~70배  / 삼성전자 10~16 / 농심 14배 / LG 에너지솔루션 100배 ㄷㄷ


🤔 PBR(배) 뭐예요?

PBR*이란 주가를 장부가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해요. PBR은 1보다 낮다면 저평가, 높다면 고평가되었다는 뜻인데요. 장부가치에 비해 실제 시장가격이 얼마나 낮은지 높은지를 보여주는 겁니다.

*PBR(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주당 장부가치 = 시가총액 ÷ 자기자


PBR은 장부가치를 활용하는 만큼 기업의 재무 상태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것. PBR이 1 이하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보다 시가총액이 낮은거죠?? 이럴 경우 시장에서 그 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아무리 자본이 많아도 ROE가 낮으면 시장에서는 좋게 평가해주지 않아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PBR(배)가 얼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5~6배 / 삼성전자 1배 / 농심 0.8배 / LG 에너지 솔루션 4배


최종적으로 정리하면 이런 그래프가 그려질 수 있겠네요.








다음 이전